컴퓨터(22)
-
WIN32 API 공부 자료 : VK_(가상키보드), WM_(윈도우 메세지) 사용자 정의 매크로 정리 사이트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포스팅하는 느낌이네요. 다름 아니고 오늘은 제목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VK_, WM_ 사용자 정의 매크로 정리 사이트를 추천해드리고 싶어서 왔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갈게요. VK_ 사용자 정의 매크로 정리 사이트 링크 :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in32/inputdev/virtual-key-codes?redirectedfrom=MSDN WM_ 사용자 정의 매크로 정리 사이트 링크 : https://wiki.winehq.org/List_Of_Windows_Messages C# 같은 경우에는 위 사이트에서 사용자 정의 매크로를 직접 선언을 해야 되더라구요. 찾아보는데 일부만 적어놓은 곳이 꽤 있어서 직접 찾아서 올려봅니다. 잘 쓰시고 ..
2020.02.05 -
[어셈블리어] 리눅스 64비트 환경에서 32비트 프로그램 컴파일하기
컴퓨터가 점점 발전해감에 따라 레지스터도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밍을 할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의 구성도 다르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말이죠. 64-bit register Lower 32 bits Lower 16 bits Lower 8 bits rax eax ax al rbx ebx bx bl rcx ecx cx cl rdx edx dx dl rsi esi si sil rdi edi di dil rbp ebp bp bpl rsp esp sp spl r8 r8d r8w r8b r9 r9d r9w r9b r10 r10d r10w r10b r11 r11d r11w r11b r12 r12d r12w r12b r13 r13d r13w r13b r14 r14d r14w r14b r15 r15d r15w ..
2020.01.29 -
OllyDbg Not a valid PE file 오류 해결 방법 (올리디버거 대체 프로그램 소개 x64dbg)
64비트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64비트를 지원한다는 올리디버거 2.0 버전으로 테스트를 시작해봤어요. 간단한 프로그램(64비트용)을 만들고 올리디버거로 로드하는 순간 오류가 떴어요. 예를 누르면, 이런 오류가 떠서 당혹스러웠어요. 64비트를 지원한다고 했지만, 올리디버거 실행만을 지원한다는 것은 아닐텐데.. 그렇다면 32비트용 프로그램은 올리디버거에 로딩이 되나 확인을 해봤어요. 컴파일 후에 올리디버거에 올려보았어요. 잘된다.... 잘되긴 하는데 살짝 아쉬움이 있네요. 분명 64비트 프로그램도 돌릴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그래서 인터넷 서핑을 하면서 방법이 없는지 찾아보았는데, 64비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올리디버거 대체 프로그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 프로그램의 이름은 x64dbg에요...
2020.01.24 -
아스키코드 표 ASCII-CODE TABLE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Dec, Hx, Oct는 순서대로 10진수, 16진수, 8진수를 뜻합니다. 자신이 변환하고 싶은 문자를 Chr 테이블에서 확인해보시고, 일치하는 값을 얻어가시면 됩니다. 16진수는 한 자리에 0에서 15까지의 값을 가지고 있는데, 각 자리마다 0~9, A~F (=a~f) (대소문자 무관) 로 값을 표현합니다. 참고로 A부터 F까지의 값은 10부터 15까지의 값이랑 같습니다. (예를 들어, A는 10, B는 11, 이런 식으로 말입니다.)
2020.01.23